[앵커]<br />인터넷은행이 출범 사흘 만에 10만 명의 고객을 끌어들이고, 정기예금 1회차 판매분을 완판 하는 등 질주가 심상치 않습니다.<br /><br />오는 6월 영업을 시작하는 두 번째 인터넷은행 역시 파격적인 서비스를 선보이며 은행권에 변화를 촉진하는 메기 역할을 하고 나서자 시중은행이 적극 반격 태세에 돌입했습니다.<br /><br />강태욱 기자의 보도입니다.<br /><br />[기자]<br />지난 3일 출범한 국내 1호 인터넷전문은행 K뱅크.<br /><br />365일 24시간 서비스를 이용하고, 점포를 두지 않는 비용을 고객에게 금리로 돌려준다는 점을 내세워 인기몰이하고 있습니다.<br /><br />첫날 가입자가 16개 은행의 월평균 건수를 넘어 2만 명을 돌파하더니 이틀 만에 8만 명에 육박하고 급기야 사흘 만에는 10만 명까지 치솟았습니다.<br /><br />대부분 30-40대 직장인들로 10명 중 4명 꼴로 퇴근 후 집에서 너도나도 가입한 겁니다.<br /><br />[심성훈 / K뱅크 은행장 : 밤낮없이 주말이나 공휴일 평일 구분 없이 언제라도 필요한 시간에 어디서든 모든 은행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.]<br /><br />여기에 2호 은행인 카카오뱅크도 본인가를 받고 출격 준비에 들어갔습니다.<br /><br />외환 송금 수수료를 시중은행의 10분 1로 낮추고 7분이면 계좌를 개설하도록 하겠다는 겁니다.<br /><br />또 동호회나 모임의 단체통장 개설과 자영업자 특화 대출 등 더 파격적인 서비스를 선보일 예정입니다.<br /><br />4천만 명이 넘는 가입자 수를 보유한 ‘카카오톡'을 기반으로 하는 만큼 케이뱅크 이상의 실적도 가능하다는 전망이 나오고 있습니다.<br /><br />이 같은 인터넷은행의 공세에 기존 은행들도 맞대응에 나섰습니다.<br /><br />국민과 신한은행 등은 유연근무제 도입으로 야간까지 영업해 고객의 생활 패턴에 서비스를 맞추기로 했습니다.<br /><br />우리은행은 아예 최소 인원과 자동화 기계만으로 운영하는 무인점포를 개설해 비용을 줄인다는 계획입니다.<br /><br />[조영무 / LG경제연구원 연구위원 : 최근에는 모바일이라든가 인터넷뱅킹을 기반으로 해서 비대면 접촉 방식의 서비스를 늘리고 이것을 통해서 수익성을 제고하려는 노력들이 계속되고 있습니다.]<br /><br />금리 면에서는 맞대응 포화가 터져 나왔습니다.<br /><br />우리은행이 정기예금 최고 연 2%, 적금은 최고 연 2.2%의 이자를 주는 상품을 내놨고, 5~7등급 중신용자를 놓고 한판 붙어야 하는 저축은행들도 대출금리를 1% 안팎 낮춘 중금리 상품을 출시하기 시작했습니다.<br /><br />인터넷 전문은행... (중략)<br /><br />▶ 기사 원문 : http://www.ytn.co.kr/_ln/0102_201704080500569372<br />▶ 제보 안내 : http://goo.gl/gEvsAL, 모바일앱, 8585@ytn.co.kr, #2424<br /><br />▣ YTN 유튜브 채널 구독 : http://goo.gl/Ytb5SZ<br /><br />[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/ Korea News Channel YTN ]